HTML 레퍼런스 북

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
장애인,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 어떠한 기술이나 환경에서도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

웹 접근성 준수 이유

장애인, 고령자 등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웹에서 원하는 정보들을 자유롭게 접근 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또한 '08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‘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’ 및 동법 시행령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할 수 있게 됩니다.

웹 표준(Web Standard)

웹 표준이란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기능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입니다.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입니다. 표준화 단체인 W3C(World Wide Consortium)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, CSS,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웹 표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.

웹 표준 준수 이유

국내 웹의 현실은 특정 브라우저와 사용자 등의 이용환경과 비표준 페이지 및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장애인, 노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 접근 제약이 있습니다. 따라서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입니다.

웹 표준 장점

1.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
2. 접근성 향상
3. 검색엔진 최적화 (SEO)
4. File Size 춧고, 서버 공간 절약
5. 효율적인 마크업
6. 호환성 가능

웹 호환성(Cross Browsing)

웹 호환성은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운영체제, 브라우저에 상관 없이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의미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.

웹 호환성 준수 이유

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고 특정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 종속되어 있다면 다양한 운영체제 환경 및 브라우저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됩니다.

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의 이해

구분 목적 준수내용 차이
웹 표준 웹의 사용성 및 접근성 보장 HTML, CSS 등에 대한 WC3규격(문법) 준수 등
- HTML, CSS, Javascript 등 구조와 표현, 동작 분리 권고
웹의 내용, 표현, 행동에 관련된 기술표준
웹 호환성 웹 브라우저 버전, 종류와 관계없는 웹사이트 접근 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
- HTML, CSS 문법 준수
- 동작, 레이아웃, 플러그인 호환성
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
웹 접근성 인적, 환경적 요인에 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(WAI)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2.0
- 인식의 용이성, 운용의 용이성, 이해의 용이성, 견고성